1863년 미국인 프레데릭 튜터는 뉴잉글랜드의 연못에서 200톤의 얼음을
채취하여 팔기 시작합니다. 얼음은 수송 도중 상당량 녹아버리는 어려움은 있었지만, 수산업이나 육가공업체, 병원과 레스토랑의 수요가 늘면서 일약 유망산업으로
떠올랐죠. 멀리 인도까지 수출하였으며, 가치를 모르고 방치되었던
얼음을 인기상품화한 튜터는 유능한 사업가로 인정받았답니다.
그런데 몇 년
뒤 뉴올리언즈에 제빙공장이 세워져 인공 얼음을 싸게 공급하기 시작했고, 해외로까지 제빙기술이 급속히
퍼져나갔답니다. 대단한 변화가 일어나는 이 상황에서 과연 얼음채취업자들은 어떻게 대응했을까요? 그들은 얼음을 규격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얼음창고를 개량하여 보관능력을
높였으며, 운송비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온갖 노력을 기울였죠. 그러나
그것으로 승부하기에는 이미 시장은 인공얼음으로 변모하고 있었습니다. 더구나 결정적으로, 1차 세계대전 이후 냉장고가 등장하면서 얼음 산업은 빠르게 역사의 뒤로 사라져버립니다. (J.M. Utterback, 1979)
변화를 맞아 완전히
사업을 재구축해야 하는데, 문제는 뭐냐 하면 현재 하는 사업이 돈을 번다는 데 있었습니다. 즉, 미래 전망은 좀 어렵더라도 현재 돈을 벌어다 주고 있는 사업을
포기하지 못한 거지요. 대부분 그렇습니다. 그런 면에서 나일론을
발명하여 크게 성공했던 듀폰이 주수입원인 섬유사업을 매각해버리고 과학회사로서 근본적인 혁신을 꾀한 것은 정말 대단한 일입니다. 200년 이상 지속성장을 한 비밀이 어디에 있는지를 보여주지요. 정신을
번쩍 나게 하는 일입니다.
어떤 변화는 너무
빠르고 근본적이어서, 하던 일을 더 잘하는 노력만으로는 충분히 대처할 수 없죠. 개인에게 있어서는 어떨까요? 우리가 가진 역량을 완전히 재구축해야
한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지금 가진 역량으로 어느 정도는
버틸 수 있지만, 미래에 요구되는 기술 목록은 그것과 완전히 다른 것이라면,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조직도 개인도
자신이 머물던 안전지대를 벗어나서 새로운 도전을 하는 데는 리스크가 따릅니다. 얼음채취업자들이 얼음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채취하고 저가에 운송하느냐에 매달리는 대신, 인공얼음과 냉각기술의 시대에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를 더 깊게 고민하고, 새로운 영역으로 나서는 더 큰 용기가 필요했겠죠.
저는 코치들에게
‘고객이 리스크를 안고 도전하도록 하려면, 코치 자신이 리스크를
질 줄 알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물론 저 자신에게도 하는
말이지요. 코치로서 코치이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보이는 진실을 외면하거나 취해야 할 도전을
희석시키는 것은 리스크를 회피하는 겁니다. 거기에서는 파워풀한 코칭이 나오기 어렵습니다. 변화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와, 그것이 우리가 하는 코칭에 미칠
영향을 생각해봅니다.
-
PREV 배우기 위해 가르치기
-
NEXT 병아리가 알을 깨고 나오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