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긍정심리학으로 널리 알려진 심리학자 마틴 셀리그먼은 예전에 실험 연구를 통해 우울증 환자들의 심리 기저에는 학습된 무기력이란 개념이 있다는 걸 입증했다.

 

개들을 일정한 공간에 가두고 바닥 전체에 전기를 흐르게 하면 처음에는 전기 충격을 피해 이리저리 뛰어다니지만, 얼마 지나면 어디로 가도 그 충격을 피할 수 없다는 걸 알게 된다. 그 다음에 공간을 전기가 흐르는 곳과 흐르지 않는 곳으로 나누어 첫 번 째 실험대상인 개와 함께 새로운 개들을 공간에 넣으면, 새로운 개들은 얼른 뛰어다니면서 충격이 없는 공간을 찾아내어 그리로 이동한 반면, 원래 있던 개들은 그냥 그 자리에서 신음을 하며 충격을 견디려고 한다는 것이다. 이른 바, 내가 통제할 수 없었던 경험으로 인해, 새로운 시도를 포기하게 된다는 학습된 무기력이다.

 

인간도 마찬가지다. 시끄러운 소음에 노출된 사람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어떤 반응을 보이면 소음이 꺼지도록 했고, 다른 그룹은 어떻게 해도 소음이 없어지지 않게 했다. 그 후 간단한 문제풀기를 하도록 했을 때, 후자 그룹은 문제 해결능력이 훨씬 약화되었다고 한다. 자신이 어떻게 해도 해결되지 않았던 소음 환경에서 무기력증을 느꼈고, 그것이 이어져서 문제를 푸는 능력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예를 들어 폭력에 지속적으로 시달리면서도 저항하거나 도망치지 않고 고통을 견디는 사람이나, 자기를 괴롭히는 상대에게 의존하는 사람 등 얼핏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의 배후에는 학습된 무기력이 자리잡고 있다는 해석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 한 가지. 학습된 무기력은 불행한 일을 통제할 수 없을 때도 나타나지만, 안타깝게도 좋은 일을 통제할 수 없을 때도 나타난다고 마틴 셀리그먼은 말한다. 아이에게 무조건 칭찬만 하는 것은, 아이들이 정말 잘했을 때 느낄 수 있는 성취감을 빼앗는 것이며, 실패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앗아가는 것이다. 그렇기에 사려 깊은 부모들은 아이들이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칭찬해 주는 한편, 문제 있는 행동은 개선할 수 있게 도와주고 큰 도전을 하도록 격려한다.

 

코칭은 상대방을 임파워해주는, 즉 힘을 갖게 해주는 일이다. 그를 진정으로 인정해 주고 지지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인정 칭찬만이 능사는 아니다. 예를 들어 자신을 작게 한정시키고 있거나, 동일한 패턴에 빠져 있을 때, 혹은 안전지대에 머물러 있을 때에도 인정만 남발한다면 상대를 무기력하게 만들 수 있다. 코치는 고객이 눈앞의 작은 게임에서 벗어나 더 큰 게임의 선수가 되도록 촉구하거나, 안전지대에서 벗어나도록 도전을 주는 존재이다. 왜 그런가? 코치는 고객의 잠재력을, 더 큰 존재가 될 수 있는 그의 가능성을 보기 때문이다.

 

외국의 어느 코치가 데모 코칭을 하는데 내용이 놀라웠다. 고객이, 허약하고 건강이 좋지 않아서 운동을 해야겠다고 하자, 코치가 어떻게 하겠냐고 물었다. 고객은 하루 30분 정도 산책을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코치는 내가 당신에게 한 가지 요청을 해도 되겠느냐고 허락을 구하더니, 엄청난 요청을 했다. “6개월 뒤에 마라톤 풀코스 뛰는 데 도전해 보세요.”라고.

 

고객은 깜짝 놀란 표정을 짓더니, 잠시 후 놀랍게도 풀코스는 무리지만, 하프코스에는 도전할게요.”라고 하는 게 아닌가. 코치의 대담한 요청 앞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건 동네 산책 정도라고 그어놓았던 머리 속 한계가 깨져나간 것 같았다.

인정 칭찬이 중요하긴 하지만, 고객이 잠재력을 더 발휘할 필요가 있을 때는 대담한 요청을 하여 스스로 성취감을 맛보도록 도전을 줘야 하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