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매년 새로 임원으로 승진한 사람들에 대한 교육이나 코칭이 진행됩니다. 이 과정에서 경영자들이 많이 쓰는 용어 중에 ‘그릇’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어떤 한 사람을 평가하는 말이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면이 있는 표현이기는 합니다.


담당자로서는 최고의 실력을 발휘해 성과를 많이 내는 직원을 리더로 임명하여 조직을 맡기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실무자와 리더의 각기 다른 역할 때문에 조직 운영이 그렇게 원만하진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결국 리더가 되고 조직 책임자가 된다는 것은 자신이 잘하는 것도 여전히 중요할 수 있지만, 함께 일하는 구성원들이 성과를 잘 내도록 하는 것도 못지 않게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부하직원들의 성과의 합이 결국 자신의 성과라는 인식, 이 단순한 논리를 현장의 리더들이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받아들이기는 그렇게 쉬워 보이지 않습니다. 코칭 중에 만나는 많은 고객들 중 이 논리를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그것을 실천으로 옮길 정도로 마음이 열린 사람은 의외로 적어 보입니다. 사람들의 행동은 머리보다 마음에 의해 이루어지는 부분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보통 승진을 한 사람들은 자신이 잘하는 분야를 계속 자기가 하려고 고집하는 경우도 있고, 또 조직의 중요한 일은 꼭 자신이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경우도 많습니다.


코칭을 진행 중인 중견기업 임원의 경우가 이런 경우입니다. 최근에 승진한 이 임원의 겉으로 드러난 모습은 너무 바쁘다는 것입니다. 새벽에 나와서 밤늦게 들어가는 일상은 말할 것도 없고, 이것저것 할 일 때문에 마음이 불안하다는 것입니다. 오늘의 주제를 잘 표현할 그림을 찾아보도록 하였는데, 사자 사진을 고르며 요즘 사는 모습이 무섭다는 표현을 합니다.


코치는 지금 진행 중인 프로젝트가 잘 해결된 모습을 이미지로 그려 보라고 합니다. 준비는 착실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머릿속은 불안감으로 가득 차 비 오는 날 고장 난 우산이 떠오른다고 합니다. 자신을 포함한 구성원들은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잘 준비했음에도 실패에 대한 불안감이 있었습니다. 실패 시 다른 사람들은 부족함이 있었다거나 최선을 다하지 않았다고 하겠지만, 자기 조직 내에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프로젝트의 성패와 관계없이 그렇게 구성원 모두 최선을 다한 결과는 누구의 몫일까요? 최선을 다하고 있는 구성원들을 볼 때 나의 걱정이 그들에게 어떻게 보일까요? 질문에 답하며 현실을 직시하는 자세를 가지니 정서적인 불안감이 좀 해소되는 것 같다고 하였습니다.


보통 중견기업에서는 관리자나 임원들이 실무를 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의 시간을 실무와 관리 일로 빼앗기고 있을 때 전체, 즉 숲을 봐주는 사람이 있습니까? 이 질문도 스스로를 다시 바라보게 하였습니다.


직원들을 임파워먼트(Empowerment) 하는 부분에서도 그렇다면 직원들의 역량과 그에 따른 업무량은 누가 결정하나요?라는 질문 또한 힘 있는 질문으로 다가갔습니다. 한 직원이 10만큼을 한다고 평가하는 것은 나의 생각임을 알아차린 것입니다. 각 직원과 상의해 보고, 그 직원의 의지나 열정 나아가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직원들과 상의해 보면, 10이 아니라 20, 30 또는 그 이상을 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코칭 질문은 나의 생각대로 조직을 운영해야 한다는 실무 중심적인 생각이나, 조직 문화적으로 소통이 많이 부족한 환경일 수도 있음을 알아차리게 해 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나와 부하직원들의 그릇을 키우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라는 질문으로 코칭을 마무리하였습니다.


실무를 잘하는 사람들을 리더로 성장시키는 과정에 코칭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이번 코칭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실무를 넘어 조직 전체를 보는 안목으로 성찰을 일으키고, 마음으로 다가가도록 하는 큰 그릇이 되도록 돕는 것에 코칭만 한 것이 없어 보이기 때문입니다. 많은 기업들이 승진자들에게 코칭을 받도록 하는 것도 같은 이유일 것입니다.


※해당 원고는 이인홍 코치의 저서 『코칭은 사랑입니다』(2023)에 실린 내용을 기초로 하였으며, 코칭 사례 게재 동의를 받았습니다.

* 칼럼에 대한 회신은 ihlee@atecap.kr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