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공장에서 근무할 때의 일이다. 영국 출장에서 돌아오는 길에 히드로 공항 면세점에서 명품 구두를 하나 샀다. ‘화려한 청춘을 안전화만을 신고 지낼 수는 없다. 괜찮은 명품 구두로 내 영혼을 위로하자’라는 명분을 내걸었다. 하지만 효용성이 없었다. 불편했다. 늘 구두를 의식해야만 했다. 공장에는 온갖 장애물이 있다. 예전 같으면 아무 생각없이 걸을 텐데 자꾸 구두를 의식하며 걸어야 했다. 물이 고인 곳은 피하고 무엇인가에 부딪치면 혹시 벗겨지지 않았는지 신경이 쓰였다. 근처 식당에 갈 때도 늘 구두가 걱정됐다. 예전에는 아무 생각 없이 구두를 벗어놓던 내게 식당 입구에 붙어있는 ‘구두 분실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란 말이 가슴에 와 닿았다. 비닐봉지에 구두를 담아 밥 먹는 내내 옆에 두어야만 했다. 공장 책임자인 나는 하루에 거의 2만보를 걸어야 했는데 그 구두를 신고는 오래 걸을 수 없었다. 발이 아팠다. 비 오는 날이 결정적이었다. 비 오는 날 공장을 도는데 발이 질척거렸다. 아니 이렇게 비싼 구두가 물이 새다니! 어느 날 명품 구두 매장에 들러 물이 새는 이유를 물었다. 그랬더니 직원이 어떤 일을 하는지, 어떤 길을 걷는지 등등 자세히 물었고 솔직하게 얘기를 했다. 그랬더니 매장 직원이 이렇게 얘기한다. “이 구두는 많이 걷는 사람을 위한 신발이 아닙니다. 또 비 오는 날은 가능한 신지 마시길 바랍니다.” 한 마디로 개발에 편자라는 말이다. 당시에는 섭섭했다. 왜 공장에서 근무하는 사람은 명품 구두를 신을 수 없느냐, 명품 구두 신는 사람은 정해져 있느냐란 반발심도 생겼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니 그 분 말이 맞았다. 공장에서 발품을 파는 내게 명품 구두는 어울리지 않았다. 1년도 안 돼 명품 구두를 폐기 처분했다. 너무 험하게 신어 더 이상 신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원래대로 다시 안전화를 신었다. 그러자 마음의 평화가 다시 찾아왔다. 구두를 의식하지 않아서 기뻤다. 어느 곳이나 거리낌없이 다닐 수 있었고 돌부리에 채여도 신경이 쓰이지 않았다. 식당에서 더 이상 비닐 봉지에 구두를 담을 필요도 없었다. 한번은 지인이 명품 만년필을 선물했다. 워낙 잘 잃어버리는 성격이라 한 번도 명품 만년필을 갖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없었다. 그래도 갖게 되니 기쁜 마음에 열심히 몸에 지니고 다녔다. 디자인도 예쁘고, 잘 써지고, 사람들이 나를 다시 보는 것 같은 착각도 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상하게 신경이 쓰였다. 가끔 안 보이면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만년필이 나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만년필을 위해 존재하는 것 같았다. 그러던 어느 날 마침내 만년필이 사라졌다. 정말 아까웠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마음의 평화가 찾아왔다. 아쉽긴 했지만 어차피 일어날 일이 일어나니 오히려 홀가분하게 느껴졌다. 언제 마음의 평화가 깨질까? 분에 넘치는 걸 소유하고 있을 때다. 공장에서 매일 걷는 자가 명품 구두를 가질 때, 밥 먹듯이 무언가를 잘 잃어버리는 자가 명품 만년필을 가질 때 평화는 깨진다. 이는 재물에도 해당한다. 왜 그럴까? 재물 손실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적당한 재물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재물이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게 아니라 사람이 재물을 위해 존재하게 된다. 너무 유명해지는 것, 인구에 회자되는 것, 내게 누군가가 열광하는 것 모두 마찬가지다. 마음이 불편하다고? 분에 넘치는 물건을 갖고 있는 건 아닌지 살펴보라. 난 홀가분한 삶을 원한다. 내가 하는 일도 그렇다. 언제든 문을 닫고 떠날 수 있는 일이 좋다. 그래서 생의 마지막 날 故 박경리 소설가처럼 “버리고 갈 것만 남아 참 홀가분하다”라는 말을 하면서 떠나고 싶다. * 칼럼에 대한 회신은 kthan@hans-consulting.com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 ||
-
PREV [김성회] 직원의 사표는 사장에 대한 해고 통지서(2)
-
NEXT [김종명] 두 번째 화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