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이 뭐길래
지방에서 자란
나는 초등 4학년 때, 친구 3명과 서울로 올라가서 자취하며 사는 걸 꿈꾸었다. 얼마나 자유롭고
얼마나 신날까? 만화처럼 코믹하고 드라마 같이 멋진 일들이 날마다 펼쳐질 것 같은 상상. 부모님은 물론 콧방귀도 뀌지 않았지만, 그 무렵 우리는 모이기만
하면 상상을 펼치고 헛된 맹세를 하곤 했다. 중학교 때는 친구 예닐곱 명이 늘 몰려 다녔다. 여중생 아니랄 까봐, 손발이 오그라드는 편지도 주고 받고, 음악도 같이 듣고, 친구 사촌오빠를 동시에 짝사랑하다가 속상해 울기도
하고 그랬다.
얼마 전 그 중
한 친구가 ‘너 이거 갖고 있니?’ 하면서 삼십 몇 년 전에
찍은 흑백 사진 한 장을 이메일로 보내왔는데, 세상에나! 일곱
명의 친구가 사복으로 잘 차려 입고 사진관까지 가서 아주 제대로 찍었다. 사진 아래 쓰인 문구가 압권이다. ‘일곱 송이 수선화’, 이 유치 찬란한 이름이 우리들의 클럽 명으로
급조된 것이었다. 1976년 당시 날짜도 사진사님의 필기체로 선명하게 쓰여 있는 그 사진은 까마득히
잊었던 기억 저 편의 일들을 생생하게 되살려냈다. 이상하게 눈물이 핑 돌았다. 그 중 한 명은 고인이 되었고, 그 상가에서 친구와 너무 똑같이
생긴 중학생 딸 때문에 울었던 기억이 났다.
우리 집 둘째
아들이 지금 그 무렵과 비슷한 중 3인데, 얘는 아침시간이
문제였다. 일찍 나가는 엄마와 고3 형 때문에 새벽에 아침밥을
먹는데, 등교 전까지 남는 시간에 도로 자는 버릇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 시간에 책을 읽거나 신문을 보거나 유용하게 쓰면 좋을 텐데, 밥 먹고 침대로 기어들어
자버리는 녀석을 말릴 수가 없었다. 내가 “아침 시간에 뭘
하면 장기적으로 너한테 가장 유익할까?”라고 물으면, “자는
게 제일 유익하죠. 건강에 좋잖아요!”라고 염장 지르는 대답만
돌아왔다. 그런데, 그렇게
1년이나 아들과 입씨름을 하게 했던 그 버릇을 하루 아침에 뚝딱 고치는 일대 사건이 일어났다.
어느 날 둘째가
그러는 거였다. “엄마, 저 내일 아침부터 수영 다닐래요.” “엥, 정말?” “네, 친구들이랑 다니기로 했어요. 새벽반 갔다가 학교에 바로 갈 거예요.” 그러더니 진짜 다음 날부터 6시
20분에 일어나서 밥 먹고 챙겨서 나갔다. 늦잠은커녕, 조금
늦게 깨웠다가는 왜 일찍 안 깨웠냐고 불평을 한다. 그렇게 하루도 빠지지 않고, 두 달 넘게 새벽 수영반을 다니고 있다. 물론 친구 때문이다. 문자에 전화질을 계속 해대며, 친구 녀석이 우리 집 앞에 오고, 둘은 만나서 길 건너 또 다른 친구와 5분 뒤에 접선하는 거다. 오, 위대한 우정이여! 친구와
함께라면 고행과도 같았던 아침 잠 깨기가 저렇게 쉽게 될 수 있는 거야? 부모가 그렇게 배우라고 해도
여름방학에 마지못해 다니고 그만 둔 종목이 바로 수영인데, 이제는 접영 배운다고 아주 신나서 말한다. 친구 따라 강남 간다더니, 그렇게 안면 싹 바꾸는 거니?
아이들의 우정의
세계에 대해 어른들은 잘 모른다. 그 점에선 나도 예전 우리 부모님과 큰 차이 없다. 얼마 전 <인플루엔서(Influence)>라는
교육의 첫 워크숍을 열었다. 거기서 사람을 변화시키는 동기를 분석하는데, 그 중 하나가 동료 압력(Peer Pressure) 같은 사회적
동기이다. 우정이나, 조직의 관행도 그런 변화 동기에 속한다. 하니, 뭔가를 해야 하는데 혼자 나서기 어려우면 친구랑 함께 해볼
일이다. 아니면 동반자 역할을 해줄 코치를 구하든지.
-
PREV 우리 자신을 먼저 인정하기
-
NEXT 이슈가 아닌 사람을 코칭하라